티스토리 뷰

JSP

JSP(Java Server Page)

daily-dev 2024. 8. 13. 18:04
반응형

JSP

- 초기 프로그램은 자바 서블릿을 이용하여 구현했다.

- 화면의 기능이나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용자를 고려하는 화면 요구 사항이 늘어났다.

- 서블릿의 기능 별도로 화면 기능을 디자이너가 작업하기 쉽게 하기 위해 JSP 등장했다.

- JSP 디자이너 입장에서 화면의 수월한 기능 구현과 개발 화면의 편리한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.

- 기존 서블릿에서는 자바 코드를 기반으로 문자열을 사용해 HTML과 자바스크립트로 화면을 구현했으나, JSP는 이와 
반대로 HTML,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JSP 요소들을 사용해 화면을 구현한다.

 

문제점

 - 서블릿의 자바 기반으로 화면 기능 구현 어려움이 발생

 - 화면 구현 자바 코드로 인해 작업이 어려움

 - 서블릿에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 기능이 같이 있어 개발 유지관리가 어려움

 

해결책

  - 서블릿의 비즈니스 로직과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 기능을 분리

 - 개발 재사용성과 유지관리 수월

 

JSP의 구성 요소

 - HTML 태그, CSS, JS

 - JSP 기본 태그

 - JSP 액션 태그

 - 커스텀 태그

 

JSP의 변환 과정

 - JSP HTML, CSS, JS 물론이고 JSP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가 화면을 구현하는 사용된다.

 - JSP 파일 자체를 브라우저로 전송하면 브라우저는 JSP 요소들을 인식하지 못한다.

 - 따라서 JSP 톰캣 컨테이너에 의해 브라우저로 전송되기 전에 실행 단계를 거쳐야 한다.

 

  1. 변환단계 : 컨테이너는 JSP 파일을 자바 파일로 변환한다.
  2. 컴파일 단계 : 컨테이너는 변환된 자바 파일을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한다.
  3. 실행 단계 : 컨테이너는 클래스 파일을 실행하여 그 결과(HTML, CSS, JS 등)를 브라우저로 전송해 출력

 

JSP 파일 작성

 

- JSP 파일은 웹 프로젝트 내 WebContent 디렉터리 아래에 생성한다.

 

* WebContent/hello.jsp
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
    pageEncoding="UTF-8"%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JSP Page</title>
</head>
<body>
	<h1>hello JSP.</h1>
	<h1>JSP 페이지입니다.</h1>
</body>
</html>

 

- 코드 작성 후 톰캣을 시작한 후 브라우저에 localhost:[port]/[project_name]/hello.jsp 를 입력해 페이지를 확인한다.

 

JSP 페이지

 

- 서블릿에서는 개발자가 일일이 HTML 태그를 만들어서 print() 메서드로 전송해 주었으나 JSP 요청

컨테이너에서 자동으로 JSP 파일에 있는 HTML 태그와 JS 브라우저로 전송해 준다.

반응형
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SP]예외 처리  (0) 2024.08.14
[JSP]내장 객체  (0) 2024.08.14
[JSP]스크립트 요소 사용 예  (0) 2024.08.14
[JSP]스크립트 요소(선언문, 스크립틀릿, 표현식, 주석문)  (0) 2024.08.13
JSP의 구성 요소  (0) 2024.08.13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